국토교통부 홈페이지에서 아파트 실거래가 확인하기
내가 살고 있는 주택의 실거래가를 파악하는 방법은 네이버부동산, 호갱노노, 아파트 실거래 등등의 어플이나 홈페이지를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에서 운영하고 있는 KB시세를 참조하는 것도 방법일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거래가의 가장 기초적인 정보가 되는 것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자료 일 것입니다.
매 분기마다 실거래가를 조회할 수 있고, 특정한 기간을 조건으로 두고 조회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역과 동만 입력하는 그 지역의 아파트가 바로 조회가 되니, 굳이 지도로 파악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의 홈페이지의 첫 화면입니다. 하단의 [빠른실거래가 조회]가 있습니다. 아파트 /연립다세대/단독다가구/오피스텔/분양입주권/상업업무용/공장창고/토지의 부동산의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거래유형은 매매(매도/매수)와 전월세를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매수 가격과 임대/임차할때의 가격이 다르기 떄문입니다. 지번인지, 도로명인지도 구분하고 있습니다. 기준년도는 2006년부터 현재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분기도 선택해야 하는데, 1/2/3/4분기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1분기는 1월~3월/ 2분기는 4월~6월/ 3분기는 7월~9월/ 4분기는 10월~12월을 의미합니다.
포스팅 날짜 기준 가장 최근의 자료는 2024년 1분기입니다.
지역과 구, 동을 선택하면 해당 지역에 속한 부동산 목록이 바로 확인됩니다. 강남구 개포동을 선택하면, 유명한 단지들이 줄줄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파트와 연립다세대를 선택했을 때의 화면입니다. 확인되는 목록이 다름을 알 수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면적을 선택하면 되는데, 공급면적 기준입니다. 연립/다세대, 상업/업무용, 토지의 면적의 기준은 각기 다릅니다. 주거용은 흔히 알고 있는 국민평수가 눈에 띄고, 업무용인 경우에는 특정한 구간으로 나뉘었으며, 토지의 경우 지목을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매매가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파트를 체크하고 개포동의 개포더샵트리에 실거래가가 확인 됩니다. 24년 1월 3일 22억3천만원에 거래가 되었네요. 14층의 가격입니다.
분기마다 확인해야 한다는 점은, 특정기간동안의 자료는 확인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만약 23년 1년동안 특정 아파트, 특정 평형수의 거래가가 알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와 마찬가지로 국토교통부의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접속하게 되면, 계약일자의 기능을 이용해, 1년내지 또는 그 이상의 기간동안 거래 내역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매매, 전월세 모두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기간을 20230101~20231231로 1년을 검색해 보겠습니다. 파일은 흔히 쓰는 엑셀입니다. 실거래 매매를 선택하였고, 아파트를 파악하려고 합니다. 선택한 단지는 경기도 용인수지구 신봉동 신봉마을자이2차입니다.
하단의 다운로드를 누르면, 유첨과 같은 엑셀파일이 확인됩니다.
실거래가 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확인이 됩니다. 면적별 거래일자와 금액 층수까지 확인이 가능하네요. 특정한 기간동안의 거래 확인을 하시려면, 이 자료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겠습니다.
다음포스팅에선 최근 하락하고 있는 아파트 단지의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유용한 부동산 어플입니다.
월세,전세 포함해 매수할 때도 유용하게 쓰입니다.
부동산 어플 추천 리스트 월세/전세/매수/매도 계약 시 참조하기
부동산은 삶에서 떼어낼 수 없는 자산인 것 같습니다. 월세/전세로 집을 구할 때에도 정보가 필요하고, 매수 매도는 말할 것도 없겠지요. 상가를 알아보러 다니거나, 오피스텔 원룸 또는 고시텔
onebilion.fidamto.com
세금의 기준이 되는 공시지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아파트 공시지가 확인하기
전세나 월세로 거주를 하든 매매를 통해 자가로 만들어도 꼭 알아야 할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공시지가 입니다. 공시지가는 부동산 세금에 대한 기준이 됩니다. 주택을 '갖는다'는 의미는 '소유
onebilion.fidamto.com
2024년에도 계획하시는 모든 것 이루시길 바랍니다.
2024년 9일의 황금연휴 최대 쉴 수 있는 시기
2024년 새롭게 시작하는 한 해, 23년도보다 2일이 더 많은 120일의 휴일을 갖고 있는 해입니다. 2일 정도 연차를 쓰게 되면 약 10일 정도의 연휴를 즐길 수 있는 추석명절이 있는 해이고, 윤년이 있어
onebilion.fidam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