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득세 카드로 결제하기 (무이자 할부)
부동산을 매수하고 보유하게 되면 크게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를 나라에 내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중 취득세는 무주택자가 1주택을 구매하게 된다거나, 또는 매수인의 주택 보유수에 따라 그 이율이 달라지기도 하고, 어느 지역, 어떤 물건을 매수하냐에 따라서도 금액이 달라집니다.
취득세와 같은 세금의 정책은 정부의 운영방침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되는데요, 생애최초의 구매인 경우 취득세 감면폭이 대체적으로 높습니다. 즉, 무주택자가 1주택을 보유하게 될때 이율이 가장 낮고, 2주택, 3주택이 되면서는 취득세가 높아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몇백만원에서 몇천만원, 많게는 억대까지 낼 수 있는 취득세를 한번에 현금으로 내는 것이 아닌 카드를 이용해 할부로 내는 방법을 찾아보겠습니다. 국세를 카드로 낼 때에는 카드스별로 조건이나 헤택이 다릅니다. 위택스를 통해서 매달 업데이트 되는 카드 리스크와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이 방법을 알려드리오니, 취득세 부담에서 벗어나보세요.
목돈이 부족하거나, 전략적인 카드 사용이 필요하게 될 경우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 위택스에서 취득세 납부하기
위택스에서 지방세, 등록면허세 등의 세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 취득세는 하단의 지방세 바로가기에서 바로 하단에 위치해 있으며 클릭하면 됩니다.
취득세를 클릭 후, 취득세 납부 옆의 낲부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인증이 필요한데, 간편인증(카카오톡/ 네이버 등등)도 가능합니다.
할부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하단의 부가서비스 -> 취득세분할납부 신청을 클릭해주세요.
화면에 아래와 같이 변경이 됩니다. 분할납부를 신청해야만, 분할납부가 가능합니다. 신청하지 않을 시에는 일괄납부를 하셔야 하세요.
2. 분할납부 가능한 카드 확인해보기
매달 위택스에서 카드 이벤트를 업데이트 해 줍니다. 위택스에 접속을 하면, 하단에 카드행사 안내를 통해서 별도로 공지를 하고 있습니다. 보통 2~3개월의 무이자 할부를 진행하고 있으며, 명심하셔야 하는 사항은 무이자 할부 기간이 지나서 납부를 하게 되면, 생각보다 높은 이자를 부담하셔야 할 수 있습니다.
카드사별 헤택 확인을 해보세요. 현대 M카드인 경우 국세청홈텍스, 위택스, 서울시 이택스, 부산시 이택스 를 통해 세금을 M포인트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평소에 쌓아둔 포인트가 있다면 현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요, 쌓인 포인트를 또 사용하기 위해서 이것저것 알아보는 수고보다 꼭 내야할 세금으로 낼 수 있다는 부분이 참 좋은 장점이겠습니다.
현대카드 | 비씨카드 | 농협카드 |
하나카드 | 우리카드 | 수협카드 |
광주카드 | 전북은행카드 |
비씨카드인 경우에는 10 또는 12개월로 할부 결제 할 시에 최대 12개월까지 부분적으로 무이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3개월의 무이자 헤택이 대부분인 것에 비해, 긴 기간을 할부로 할 때에는 헤택이 많지 않았는데 비씨카드에서는 이 부분을 적극적으로 보완했네요. 이번 소득공제 혜택이 많은 고향사랑 이음을 통해서 기부까지 가능하니, 이 혜택도 받아가세요.
[고향사랑 이음 제도 통해 10만원 기부로 13만원 얻어가기]
2024 연말정산 기간 환급금 조회 미리보기
1.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 개통 2023.10.31부터~ 연말정산을 마무리하면 주변 동료들이 200만 원 환급받았다던지, 50만 원을 추가로 더 환수당한다던지라는 피드백을 듣게 됩니다. 누구는 돌려받
onebilion.fidamto.com
현대나 비씨카드 외에도 농협, 하나, 우리, 수협, 광주, 전북은행에서도 지방세, 국세 납부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갖고 있는 카드가 해당사항이 있다면 별도로 발급받을 필요도 없을 수 있을 것 같고, 그것이 아니라면 각 개인의 요구사항에 맞춰서 전략적으로 이용하면 부담을 조금 더 덜 수 있을 것 같습니다.